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표적 건식 윤활베어링으로서 소형·경량화 및 완전 무급유 사용이 최대 장점입니다.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테프론과 혼합물을 고체 윤활제로 사용한 복층구조가 특징입니다.
1. 기저철판 : 베어링의 골격과 형태를이루면서 하중과 충격을 받는 기계적 강도와 안정성을 갖습니다.
2 . 청동소결층 :
· 고체윤활제가 다공질 내부에도 함침되어 있어 기저철판에 윤활제증을 고착시켜 주는 매체 역할을 합니다.
· 마찰 운동시 발생되는 열을 하우징 밖으로 전달하여 베어링부분의 온도상승을 막아줍니다.
3. 고체윤활제층 : 마찰과 마모를 줄여주는 윤활 역할을 담당합니다.
초기운전단계에서는 적응마모의 목적으로 고체윤활제층의 일부가 상대면(Shaft 등)의 (凹凸)면으로 신속히 옮겨가서 부드러운 저마찰의 보완 피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운전단계의 마모가 급속히 이루어짐을 뜻하며 또한 사용시간이 흐름에 따라 Dry Bearing의 실용적 수명한계는 0.05mm 정도의 윤활제층 마모와 아울러 청동소결층이 70%이상 붉게 드러나 보일 경우 수명이 다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적응 운전이 끝나고 어느 정도의 운전시간이 경과된 후 Dry Bearing의 표면 변화를 보여 주는 단면 사진
Bush
바이스나 소형프레스를 사용하여 편심이 지지 않도록 수직으로 압입하고, 망치로 치는 것과 같은 충격하중은 피해야함
Flange Bush
DRY 스라스트 와샤
스라스트 와샤를 장착할 때는 녹크핀 또는 접시머리 스크류나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접착제(록타이트, 아랄타이트)로 접착시키는 경우 120 ˚C 이상의 분위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DRY Slide도 동일한 방법임)